(유럽연합) 20% △영국
남아프리카 30% △인도 26% △한국 25% △일본 24% △EU(유럽연합) 20% △영국 20% △브라질 10% 등이다.
트럼프 대통령은상호관세율발표 전 다른 나라의 불공정 무역 관행을 언급하며 "한국, 일본과 다른 매우 많은 나라가 부과하는 모든 비(非)금전적 (무역.
공항에서 대통령 전용기를 내려 걸어가고 있다.
월스트리트저널(WSJ)은 이날.
[서울경제] 백악관은 2일(현지 시간) 국가별상호관세율을 정리한 사진을 공개했다.
국가명 뒤 왼쪽 숫자는 상대국이 미국 측에 부과한다고 보는관세율이며, 오른쪽 노란색 칸이 미국이 해당 국가에 부과하기로 한관세율이다.
이어 환율 조작 등 비관세 장벽까지 감안하면 중국의 대미관세율이 67%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설명한 뒤, 미국의 대중상호관세율은 이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.
중국의 대미 우회 수출 통로로 여겨지는 베트남에는 46%의 관세가 적용된다.
5일부터는 모든 국가에 10% 기본관세를 부과하고, 9일부터는 무역적자를 크게 기록하고 있는 한국 등 50개국가에는 개별적인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.
50개국 외 국가에는 10% 기본관세가 계속 적용된다.
한미자유무역협정(FTA) 체결국인 한국에는 25%, 중국.
말레이시아(24%), 유럽연합(EU·20%), 영국(10%)보다는 높다.
언론들은 3가지 관측을 하고 있습니다.
나라와 상품에 관계없이 20%의 보편관세, 반대로 국가별 맞춤형상호관세, 그리고 무역장벽에 따라 10 또는 20%의관세율을 적용하는 안이 그것입니다.
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나라가 미국에 했던.
많고 대통령이 전화 받는 것에 항상 열려 있다고 말해 협상 가능성을 열어놨습니다.
[도널드 트럼프/미국 대통령 (어제) : (상호)관세율은 상대국이 미국에게 부과했던 것보다 낮을 것입니다.
어떤 경우에는 훨씬 더 낮을 수 있습니다.
] 백악관은 또 3일 부과 예정.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